Study/Python

[Python Study] 2일차 - 조건문과 반복문 입문

knowledge hunter 2025. 1. 26. 23:53
728x90
반응형

1. 학습 목표

  • 조건문과 반복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을 배운다.

2. 학습 내용


1. 조건문 (Conditional Statements)

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참(True)일 때만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1-1. if, elif, else 기본 구조

# 조건문 기본 예제
x = 10

if x > 5:  # 조건이 참일 때 실행
    print("x는 5보다 큽니다.")
elif x == 5:  # 조건이 거짓이고, 다른 조건이 참일 때 실행
    print("x는 5와 같습니다.")
else:  #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
    print("x는 5보다 작습니다.")​
 

설명:

  • if 뒤에 조건을 작성합니다. 조건이 True일 경우 해당 블록이 실행됩니다.
  • elif는 "그렇지 않고 만약"이라는 뜻으로 추가 조건을 작성할 때 사용됩니다.
  • else는 조건이 모두 거짓일 경우 실행됩니다.

1-2. 비교 연산자

 

연산자 의미
== 같음
!= 같지 않음
> 크다
< 작다
>= 크거나 같다
<= 작거나 같다

예제:

 
a = 7
b = 10

print(a == b)  # False
print(a != b)  # True
print(a > b)   # False
print(a <= b)  # True

 


2. 반복문 (Loops)

반복문은 코드를 여러 번 실행할 때 사용합니다.

2-1. for 반복문

리스트나 범위의 각 요소를 하나씩 가져와 실행합니다.

# 리스트 반복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설명:

  • 리스트 fruits의 각 요소가 fruit에 하나씩 저장되어 print(fruit)이 실행됩니다.

2-2. range() 함수

range()는 숫자의 범위를 생성합니다.

# 0부터 4까지 출력
for i in range(5):
    print(i)

# 1부터 10까지 출력
for i in range(1, 11):
    print(i)
 

2-3. while 반복문

조건이 참(True)일 동안 코드를 실행합니다.

# 1부터 5까지 출력
count = 1

while count <= 5:
    print(count)
    count += 1  # count를 1씩 증가

2-4. 반복문 제어 (break, continue)

  • break: 반복문을 즉시 종료합니다.
  • continue: 현재 반복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갑니다.
# break 사용
for i in range(10):
    if i == 5:
        break
    print(i)

# continue 사용
for i in range(10):
    if i % 2 == 0:  # 짝수일 경우 건너뛰기
        continue
    print(i)
 

3. 실습 문제

문제 1: 숫자 크기 비교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아 크기를 비교하세요.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f num > 0:
    print("양수입니다.")
elif num < 0:
    print("음수입니다.")
else:
    print("0입니다.")
 

문제 2: 구구단 출력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아 해당 숫자의 구구단을 출력하세요.

num = int(input("출력할 구구단의 단을 입력하세요: "))

for i in range(1, 10):
    print(f"{num} x {i} = {num * i}")
 

문제 3: 합계 계산기

1부터 사용자 입력 값까지의 숫자를 더한 합계를 출력하세요.

n = int(input("1부터 몇까지 더할까요? "))
total = 0

for i in range(1, n + 1):
    total += i

print("합계는:", total)

문제 4: 홀수만 출력

1부터 20까지의 홀수만 출력하세요.

for i in range(1, 21):
    if i % 2 != 0:  # 홀수 조건
        print(i)
 

4. 복습 과제

  1. if-else를 사용해 숫자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2. for와 while을 각각 사용해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세요.
  3. break와 continue를 사용한 반복문 예제를 추가로 만들어 보세요.

5. 학습 요약

  • 조건문을 통해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반복문을 활용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break와 continue로 반복문의 실행을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